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코딩테스트
- django
- 구현
- DP
- DFS기초
- 백준
- JS
- react-query
- 파이썬
- socket.io
- 스택자료구조
- 알고리즘
- 그리디
- 코딩테스트실력진단
- 블챌
- 완전탐색
- BFS
- 그리디알고리즘
- 백준알고리즘
- Express
- react
- 재귀
- CSS
- 스택
- DFS활용
- 문자열
- DFS
- 자료구조
- 코드트리
- 코테
Archives
- Today
- Total
꾸준하게 거북이처럼
백준 2225번 - 파이썬 본문
2225번: 합분해
첫째 줄에 답을 1,000,000,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.
www.acmicpc.net
문제를 풀었긴했지만 시간적 효율이 안좋아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았다.
처음에 이 문제에서 점화식을
dp[n][k] = dp[n - 1][i]( i = 1 ~ k까지)
라고 두었다. 그렇게 되면 => 3중 중첩문 + 여러번 같은 수를 반복해서 더하게됨.
dp[2][1] 이나 dp[2][5] 를 더할 때도 반복해서 dp[1][1 ~ k] 까지 똑같이 같은 반복으로 더해야한다. 이는 불필요하다.
아래는 위의 점화식으로 코드를 짠것이다.
dp = [[0] * 201 for _ in range(201)]
n, k = map(int,input().split())
for i in range(1, 201):
dp[1][i] = i
for i in range(2, 201):
for j in range(1, 201):
res = 0
for m in range(1, j + 1):
res += (dp[i - 1][m] % 1000000000)
dp[i][j] = (res % 1000000000)
print(dp[n][k])
dp[n][k] = dp[n - 1][i]( i = 1 ~ k까지)
이 말은 즉, i 가 1 ~ k -1 일 때 dp[n][k - 1]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dp[n - 1][k] 만 더해주면 dp[n][k]가 된다.
최종 점화식
dp[n][k] = dp[n][k - 1] + dp[n - 1][k]
코드
dp = [[0] * 201 for _ in range(201)]
n, k = map(int,input().split())
for i in range(1, 201):
dp[1][i] = i
for i in range(1, 201):
dp[i][1] = 1
for i in range(2, 201):
for j in range(2, 201):
dp[i][j] = (dp[i][j - 1] + dp[i - 1][j]) % 1000000000
print(dp[n][k] % 1000000000)
# dp[n][k] = dp[n - 1][i]( i = 1 ~ k까지) => 이를 그대로 쓰면 3중 중첩문 + 여러번 같은 수를 반복해서 더하게됨.
# 하지만, dp[n - 1][i] 에서 i = 1 ~ k - 1 일때 => dp[n][k - 1] 와 같다.
# 따라서 dp[n][k] = dp[n][k - 1] + dp[n - 1][k]로 점화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.
아래 사진을 보면, 시간적 효율성이 훨씬 더 좋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'Algorithm 문제 & 공부 > D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309 파이썬 (0) | 2022.08.18 |
---|---|
백준 1149번 파이썬 (0) | 2022.08.17 |
백준 1699번 파이썬: 제곱수의 합 (0) | 2022.08.14 |
백준 11053번 파이썬 (0) | 2022.08.11 |
백준 10844번 파이썬 - 쉬운 계단 수 (0) | 2022.08.09 |
Comments